Service Discovery 패턴
Spring

Service Discovery 패턴

728x90
반응형

Service Discovery

배경 :

  • MSA 분산 환경 : 서비스 간 원격 호출 구성 (일반적으로 원격 서비스 호출 - IP / port 이용 )
  • 클라우드 환경 내에서 오토 스케일링 등에 의해 동적 생성, 컨테이너 기반 배포 등으로 서비스 IP가 동적으로 자주 변경될 수 있음

image

  • 또한 책에 나온 것 처럼 파티션 리벨런싱에 의해 노드에 할당된 파티션이 바뀌는 상황 또한 결국 dest 노드를 찾아야하는 상황 → (service discovery가 필요)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서비스를 호출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의 위치(or Ip/Port) 를 알아야하는데,
이를 보통 service registry 에 등록해놓음

image

 


 

Service Registry

서비스 디스커버리의 가장 중요한 포인트이며, 이 때문에 높은 가용성 및 늘 최신성을 보장해야함

 

 

Ex)  Netflix - Eurek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cloud:spring-cloud-starter-netflix-eureka-server’
  • 서비스 인스턴스를 등록하거나 query 할 수 있도록 rest API 제공
  • POST 를 통한 등록 / PUT 을 통한 30초마다 해당 등록 refreshimage

새로운 인스턴스는 시작할 때 Eureka 서버에 IP, 호스트 주소, 포트 정보 등을 스스로 전송

Eureka 서버는 받은 정보를 가지고 일정한 간격으로 상태를 체크하면서 해당 인스턴스를 관리

인스턴스가 새로 실행될 때마다 자신의 정보를 서버에 동적으로 등록하기 때문에,
운영자들은 서비스를 수평 확장할 때 IP 정보에 대해 신경 쓸 필요 X
(여기서 수평 확장이란 부하가 걸린 서비스에 인스턴스를 늘려 처리량을 높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운영자들은 설정 파일에 Eureka 서버 정보만 입력하면 되고, 서비스들은 다른 서비스를 호출할 때 Eureka 서버에 등록된 인스턴스를 조회하면 됩니다.

 

 

  • Apache Zookeeper
    • 분산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고사양 코디네이션 서비스
    • Hadoop world에 originated됨
    • Hadoop 안의 다양한 component 유지에 Good
    • Server Cluster가 running되면 모든 node 사이의 설정값을 zookeeper가 공유함

 

  • etcd
    • Http를 통해 접근 가능, 고가용성, 분산, 일관성의 특징인 key-value 저장소
      • 현재 kubernetes에서도 사용 중
    • deploy, setup, user가 쉬움 (일반적으로 zookeeper와 비교했을 때도 쉬움)
    • 그러나 automatic service discovery를 위해선 Registator와 같은 Third Party tool들과 함께 써야함

 

  • Consul
    • Hierachical key-value 저장소
    • Data 저장 뿐만 아니라 Watches Registration 또한 해줌
      • (데이터 변경에 대한 noti 전송, health check, custom command 등 여러 task에 사용됨)
    • 서비스를 등록하고 찾기위한 DNS interface, API를 제공

MSA 패턴 중 service discovery 패턴을 구현하는 대표적인 방법 2가지

 

Client-side Discovery VS Service-side Discovery

 

 

Client-side Discovery

  • client가 Service Registry에서 서비스의 위치를 찾아서 로드밸런싱 알고리즘을 통해 서비스 호출
  • service Instance는 구동될 때 service registry 에 본인의 위치를 알리고, 종료 시에는 service registry 에서 삭제
  • 서비스 인스턴스 등록은 heartbeat 메커니즘에 따라 주기적으로 refresh

ex) Netflix Eureka - Client-Side Discovery Pattern 방식의 Service Registry

image

장단점 :

  • 비교적 간단하다
  • 클라이언트가 사용가능한 서비스 인스턴스에 대해 알고 있기 때문에, 각 서비스별 로드 밸런싱 방법 선택 가능
  • 클라이언트와 서비스 레지스트리가 연결되어있어 결국 디펜던시가 존재한다.
  • 서비스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는 언어, 프레임워크에 따라 클라이언트 측에서 검색 로직 구현에 대해 의존성이 있다.

 

 

 

Server-side Discovery

호출시 해당 호출(요청)을 로드 밸런서(or proxy server)를 통해 서비스로 전달하는 방식

요청을 받은 로드 밸런서는 service discovery로 부터 등록된 서비스의 위치를 응답으로 받아, 이를 기반으로 요청을 라우팅 처리한다.

image

ex)

  • service discovery(loadbalancer, proxy server) : aws ELB, Google LoadBalancer
  • Service Registry : Kube-DNS + etcd

장단점 :

  • discovery에 대한 정보가 클라이언트와 분리되어있어 의존성이 떨어진다.
  • 클라이언트는 단순히 로드 밸런서에 요청만 한다. → 언어, 프레임워크에 맞게 검색 로직에 대한 구현 강제성 X
  • 일부 배포환경에서는 이 기능을 현재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 단, 로드밸런서가 배포환경에서 제공되어야 한다
    • 제공되어있지 않다면 설정 및 관리해야하는 또 하나의 스텝이 필요하다
728x90
반응형